-
-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상세보기
-
NEWSLETTER
상세보기
-
-
Anton Paar레오미터
상세보기
-
Anton Paar레오미터
상세보기
-
TA instruments 레오미터
상세보기
-
New HR 레오미터
상세보기
-
유변물성 측정기술 실습동영상
상세보기
-
-
25
2025.04
[교육] 2025 제54회 유변물성 아카데미 개최 안내
본 학회에서는 아래와 같이 유변물성 아카데미를 개최합니다. 이번 유변물성 아카데미는 유변학의 기초부터 산업 응용까지 최신 이론과 실무 사례를 폭넓게 다루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특히, 유변물성 측정기술, 미세구조 분석, 수치 모델링, 현탁액 분산계, 건조 공정, 이차전지 슬러리 등 산업 전반에 걸쳐 활용되는 복잡 유체의 유변학적 이해와 평가 및 활용 기술을 중심으로 강의가 이루어 질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리며, 자세한 내용은 첨부한 리플렛을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1. 날짜 및 장소 : 2025년 7월 10일(목) ~ 11일(금),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 5층(컨퍼런스홀A) 2. 프로그램 : 하단의 [프로그램 다운로드] 배너에서 확인3. 수강인원 및 참가대상 : 70명, 유변학 관련 분야의 연구, 기술직 요원 (신청하러 가기)4. 등록마감 : 2025년 6월 27일(금)까지5. 강좌 구성 1) 유변학의 기초_이성재 교수 (수원대학교) 2) 흥미로운 현탁액 분산계의 원리와 현상_전명석 박사 (KIST) 3) 회전형 레오미터를 활용한 전단 유변물성 측정_현 규 교수 (부산대학교) 4) 신장 유변 물성 측정의 기초 원리와 응용 사례_김주민 교수 (아주대학교) 5) 계면층 유변물성 측정기술_홍정숙 교 수 (서울대학교) 6) 고분자 용액의 멀티스케일 시뮬레이션 및 모델링 기초_김준모 교수 (경기대학교) 7) 유체 공정 중 소재의 미세구조 변화 및 유변학 거동 변화_박준동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8) 유동/건조 공정에서의 복잡 유체 거동 해석_이영기 교수 (한경국립대학교) 9) 고에너지밀도 이차전지 슬러리의 제조와 유변학적/전기화학적 상관 관계 분석_이두진 교수(전남대학교)6. 등록비 구분등록비비고비회원사(일반회원 및 학생회원 포함)800,000원교재, 중식 포함회원사(소속 임직원만 해당)500,000원교재, 중식 포함 ※ 사전등록 취소 및 등록비 환불 마감 : 6월 27일(금) 오후 5시까지 (마감일 이후에는 불가함) - 사전등록 취소 요청 후 학회로 연락주셔야 카드결제 취소까지 진행되며, 카드결제 취소는 가능하시면 결제 후 7일 이내에 요청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7. 원포인트컨설팅(One-point Consulting)참석자 중 선착순 세 분이 참여할 수 있고, 컨설팅은 참여자가 유변 물성 측정 및 분석 관련 애로사항을 제시하여 이에 대해 관련 전문가에게 상담 받는 형식입니다. 따라서, 참석자는 컨설팅 받고자 하는 애로사항을 미리 신청하고, 관련 전문가를 매칭하여 30분 컨설팅을 배정하여 진행하고자 합니다. (등록 시 참여 신청, 선착순 세 분에게 기회를 드립니다) *신청방법 : 학회 이메일(ksr@ksr.or.kr)로 신청8. 교통/숙박 안내 BPEX(부산항국제컨벤션센터) 부산광역시 동구 충장대로 206(초량동 45-39) 오시는 길 : https://www.bpex.co.kr/index.nm?menuCd=4 숙박 안내 : https://www.bpex.co.kr/tour/list.nm?menuCd=23&lang=ko&url=tour9. 기타 안내1) 행사 기간 동안 관련 업체 전시 및 관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예정입니다.2) 숙박 예약은 개별적으로 진행하시는 사항입니다.3) 등록비 거래명세서와 영수증은 홈페이지 로그인하신 경우 로그인>마이페이지>사전등록내역에서 출력이 가능하며, 로그인 없이 신청하신 경우는 학회로 문의주시면 발행해 드립니다.4) 무통장입금의 경우 전자계산서 발행이 가능하며, 학회 이메일(ksr@ksr.or.kr)로 기관의 사업자등록증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5) 교육일자 임박하여 취소하실 경우 진행에 차질이 예상되니 충분히 검토 후 신청 부탁드립니다.6) 강의 자료는 당일 책자로 배포하며, PDF 파일로는 제공되지 않습니다.7) 본 강좌는 고용보험 환급 대상 교육이 아닙니다. 문의처 한국유변학회 E-mail : ksr@ksr.or.kr Tel : 02-3452-5117
-
[춘계] 2025 춘계총회 및 학술발표회 발표일정 안내
안녕하십니까? 회원여러분2025년도 한국유변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발표일정을 첨부와 같이 안내하오니 일정에 참고하시기를 바라며, 출장공문이 필요한 경우에는 첨부한 공문을 참조하시기를 바랍니다. 2025 춘계총회 및 학술발표회개최날짜: 2025년 5월 9일(금)개최장소: 숙명여자대학교 미래창조관세션 발표1. 구두세션첨부한 프로그램을 참조하시기를 바랍니다. 학회에 등록하시는 회원께서는 모든 세션을 오픈세션으로 참가하실 수 있습니다.모든 구두세션 발표자는 세션시작 전 발표자료를 미리 해당 세션장 STAFF에게 전달하여 준비해 주시기를 바랍니다.2. 포스터세션포스터 보드 사이즈 1800*1000에 맞게 제작, 형식은 자유(부착에 필요한 물품은 학회에서 제공)게시일정: 5월 9일(금) 09:00 부터 해당번호에 부착 등록 안내 등록장소: 2025.05.09(금) 09:00~17:00, 숙명여자대학교 미래창조관 1층 로비사전등록 회원께서는 등록데스크에서 등록 확인 후 입장현장등록을 원하시는 참가자께서는 등록신청서 작성 및 등록비 결재 후 입장현장 카드결제 가능합니다. 기타 안내 - 총회안내 : 2025년 5월 9일(금) 11:00 ~11:30 총회에 불참하시는 회원께서는 첨부한 위임장을 작성하시어 4월 25일(금)까지 보내주시기를 바랍니다.- 중식안내 : 학회 등록하신 회원께 중식을 제공하며, 식권은 등록 시 나눠드립니다. - 우수발표상 시상 : 심사를 거쳐 대학원생 구두 및 포스터 우수발표상을 시상할 예정입니다.- 경품이벤트 : 학회에 참가하신 회원분께 경품추첨의 기회를 드립니다. - 행사장 : 숙명여자대학교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47길 100 (청파동2가))- 주차 : 주차장은 첨부한 파일을 참조하시기를 바라며, 학회 등록데스크에 문의- 관련 문의는 가능하면 학회사무국 E-mail로 연락해 주시기를 바랍니다.한국유변학회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KU R&D센터 542호T: 02-3452-5117 F: 02-3452-5119 E: ksr@ksr.or.kr H: http://www.rheology.or.kr
2025.04.16
-
[춘계] 2025 춘계총회 및 학술발표회 개최 안내
안녕하십니까?2025년도 한국유변학회 춘계총회 및 학술발표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추가 안내사항은 이메일과 홈페이지를 통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2025 춘계총회 및 학술발표회]▘개최날짜: 2025년 5월 9일(금), 오프라인 ▘개최장소: 숙명여자대학교 미래창조관[주요 날짜] 발표신청마감: 2025.04.03(목)발표신청연장: 2025.04.09(수)사전등록마감: 2025.04.24(목) [발표신청 및 사전등록 안내]1) 발표신청(초록제출) 마감: 2025년 4월 3일(목) 발표신청 연장: 2025년 4월 9일(수)▘학회 홈페이지(https://www.rheology.or.kr/sub03/sub01.php)에서 초록양식을 다운로드하여 작성하신 후 로그인하여 제출▘대학원생 구두발표의 경우, 발표시간이 한정된 관계로 초록의 사전심사를 통해 포스터 발표로 임의 변경될 수 있음▘심사를 거쳐 대학원생 구두 및 포스터 우수발표상을 수여할 예정▘포스터 세션 : 사이즈는 가로 90cm X 세로 120cm로 제작하여 게시, 형식은 자유2) 사전등록 마감: 2025년 4월 24일(목)▘금년도 회비를 미납한 경우 반드시 등록유형B(1년 연회비 면제)로 등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전등록을 취소할 경우 취소요청을 하신 후에 학회로 연락을 주셔야 결제취소가 같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 사전등록 및 발표신청을 하셔야 영수증 및 거래명세서 출력, 초록파일 수정이 가능하오니 반드시 로그인 후 등록 바랍니다.(학생회원 기준 : 학부생 및 석사과정생, 박사과정생은 정회원으로 등록 요망) ▘등록비 3) 춘계총회 개최▘2025년도 춘계 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라며, 불참하시는 회원께서는 위임장을 작성하시어 4월 25일(금)까지 학회사무국으로 보내주시기를 바랍니다.개최예정: 5월 9일(금) 11:00~11:304) 기타 안내▘중식안내: 학회 등록하신 회원들에게 점심을 제공해 드리며, 식권은 등록 시 배부합니다.▘우수발표상 시상: 심사를 거쳐 대학원생 구두 및 포스터 우수발표상을 시상할 예정입니다.▘경품이벤트: 학회에 참가하신 회원여러분에게 경품추첨의 기회를 드립니다.▘기타 관련 문의는 학회사무국으로 연락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한국유변학회 T: 02-3452-5117 F: 02-3452-5119 E: ksr@ksr.or.kr
2025.03.05
-
2025 주요 행사 및 회의 일정
회원여러분! 아래와 같이 학회 2025년도 주요일정을 안내 드리오니 일정에 참고하시고 많은 관심 바랍니다.감사합니다.
2025.01.08
19
2024.11
Call for Abstract Submissions for A-PRCR
안녕하세요. 제9회
Asia-Pacific Rim Conference on Rheology (A-PRCR2025)가
2025년 7월20일-25일에
일본 고베에서 개최되오니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Website of A-PRCR2025https://pub.confit.atlas.jp/en/event/prcr2025 For abstract submission,* From Nov. 1st, submission site has been opened until Dec 31st. https://pub.confit.atlas.jp/en/event/prcr2025/content/submissionDear All, We hope this message finds you well. The Society of Rheology, Japan, in collaboration with the Japanese Society of Biorheology, is pleased to announce that we will be hosting The 9th Asia-Pacific Rim Conference on Rheology (A-PRCR2025) from Sunday, July 20, to Friday, July 25, 2025, in Kobe, Japan. Abstract submissions and participant registration are now open, and we kindly encourage you to consider joining us. We would also be grateful if you could share this information with your colleagues and other interested parties. At A-PRCR2025, we will welcome seven distinguished speakers from around the world who will deliver invited lectures, fostering lively discussions on the latest advances in rheology. Until now, the organizing countries for PCRC have included Australia, Canada, South Korea, China, and Japan. This year, with India joining, the conference has been renamed "A-PRCR2025." Through this event, we aim to provide a valuable platform for exchange among rheology researchers in the Asia-Pacific region and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rheology. We look forward to your participation and support. Best regards,Society of Rheology, JapanCall for Papers – Submission Deadline: Tuesday, December 31, 2024*The submission deadline is the same for both oral and poster presentations.Event: The 9th Asia-Pacific Rim Conference on Rheology (A-PRCR2025)Dates: Sunday, July 20 – Friday, July 25, 2025Venue: Kobe International Conference CenterFor more details and registration, please visit: https://prcr2025.jp/
-
[공고] 중앙대학교 첨단소재공학과 2025년도 1학기 채용 전임교원 초빙을 위한 교원후보자 정보 제출 안내
중앙대학교 첨단소재공학과 2025년도 1학기 채용 전임교원 초빙을 위한 교원후보자 정보 제출 안내 공고우수 교수(연구자)의 채용을 위한, 사전 탐색 절차로서, 우수후보자들의 정보등록을 요청(교수 채용 절차와는 무관하며, 정식 채용은 각 차수 별도의 공고절차에 의함)등록된 정보는 탐색 절차에만 활용 (요청 시 폐기)DB 등록 시 혜택: 초빙 강연 기회 부여나 향후 채용 공고 시 개별안내 등 (2024년 9-10월 중)본 절차의 결과를 바탕으로 공채 및 특별 채용을 위한 전임교원 채용 공고 예정 (2024년 하반기 중)해당 전공분야의 적격자가 없을 경우 초빙하지 않을 수 있음□ 초빙분야 및 인원 대학 학과 채용전공 인원 공통자격 및 세부지원자격 문의 공과 첨단소재공학과 - 첨단소재 전분야 - Search Committee 의결 후 결정 1 - 신소재공학 교과목 강의 가능자- 연구실적 우수자031-670-4551 □ 접수방법 및 기간 1) 제출물: CV (각 논문 파일들은 접수하지 않습니다.)2) 접수기간: 2024년 8월 15일 ~ 2024년 8월 31일3) 접수처: 이메일 제출 (go5805@cau.ac.kr)
2024.08.16
-
[교육] MKE Polymer Extrusion super weeks 안내
컴파운딩과 패브리케이션 압출 가공 분야 최대 기술의 집적지인 MKE Polymer에서 2024년 8월 19일주 (8월22-23일)과 8월26일주 (8월28일)에는 Extrusion super weeks로 운영합니다. 8월 19일 주차에는 '단축 압출 실무교육 I : 디지털 트윈을 이용한 제품생산 (2일과정)'과 학계와 연구계를 대상으로 MKE P-TEC 센터에 대해 Live open lab 행사를 진행하며, 8월 26일 주차는 '단축 압출 실무교육 II : 제품 생산을 위한 Troubleshooting (1일과정)'과 MKE P-TEC 센터에 대해 산업계를 대상으로 Live open lab 행사를 진행합니다.자세한 내용과 신청은 첨부한 파일을 참조하시기를 바랍니다.< PPS 신청 방법 >1. 첨부 참가신청서 (word 파일) 혹은2. 구글폼 설문참가 신청 링크 : https://forms.gle/xTs3z5bGvtNUdjCP8
2024.08.06
-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ber Science and Technology (ISF2024) 개최 안내
아래와 같이 유변학 관련 국제심포지엄을 회원들에게 안내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한 안내장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International Symposium on Fiber Science and Technology (ISF2024) Nov. 25-29, 2024, Kyoto, JapanDates Novem ber 25–29, 2024 (including Autumn Meeting)* November 28: Joint poster presentation with the Autumn Meeting* November 29: Oral presentation at the Autumn MeetingVenueKYOTO TERRSA (70, Shimotonoda-cho, Higashikujo, Minami-ku, Kyoto 601-8047, Japan)Organized byThe Society of Fiber Science and Technology, Japan
2024.06.26
19
2023.06
연규윤리규정
연구윤리규정 제정 : 2008년 3월 6일 제 1 조(목적) 본 규정은 한국유변학회(이하‘학회’라 한다)와 관련된 연구가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하거나 사회 공동의 윤리를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연구에 있어서의 엄밀함과 윤리성을 제고할 수 있는 과정의 규율체계를 규정함으로써 연구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 2 조(연구자의 정직성) ① 연구자는 각자가 수행하는 연구에 있어서 정직하여야 한다. 여기서 정직은 아이디어의 도출, 실험에 대한 설계, 실험과 결과의 분석, 연구비 지원, 연구결과의 출판, 연구 참여자들에 대한 공정한 보상 등 연구과정의 전반에 관한 정직을 말한다. ② 연구자는 연구에 있어서의 표절, 사기, 조작, 위조 및 변조 등을 심각한 범죄행위로 간주하고, 이러한 부정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여야 한다. ③ 연구자는 본 조 제2항의 부정행위가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경우 적절한 방법으로 이를 학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④ 연구자는 자신의 이익과 타인 또는 타 기관의 이익이 상충하거나, 상충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 이를 공표 하고 적절히 대응하여야 한다. 제 3 조(연구의 개방성) ①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기밀이 보호되는 범위 내에서, 학문과 기술의 발전을 위하여 최대한 공개적인 자세로 임하여야 한다. ② 연구결과가 출판된 후 다른 연구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지적재산권 또는 연구와 관련된 제한이 규정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연구 관련 데이터와 결과물 등을 적극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제 4 조(기여도 배분) ① 논문 등 출판된 연구결과에 기재된 저자들은 그 연구내용을 숙지함으로써 책임을 다할 수 있어야 하며, 기여도가 없는 사람에 대하여 저자의 권한을 부여해서는 아니된다. ② 공식적인 공동연구자 또는 출판물의 작성에 직간접으로 기여한 사람들은 논문 등에 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적절히 보상되어야 한다. 제 5 조(타 기관의 가이드라인) ①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와 관련된 법적 제한을 숙지하여야 한다. ② 학회는 연구자에게 본 규정과 더불어 연구의 발주기관 혹은 관련 단체나 기관이 제시하는 연구 수행의 가이드라인을 따를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제 6 조(연구윤리위원회) ① 연구윤리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학회 내에 연구윤리위원회(이하‘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② 위원회는 수석부회장, 부회장, 총무이사, 기획이사, 편집이사의 5인으로 구성한다. ③ 위원장은 수석부회장이 수행한다. 제 7 조(위원회의 운영) ① 위원회는 회장의 요청이 있을 경우 또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 위원장이 소집한다. ② 위원회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성립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단, 위임장은 위원회의 성립에 있어 출석으로 인정하되 의결권은 부여하지 않는다. ③ 위원회의 심의 대상인 연구에 관여하고 있는 위원은 그 연구와 관련된 심의에 참여할 수 없다. ④ 위원장은 심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연구책임자 혹은 관리책임자에게 자료의 제출 또는 보고를 요구할 수 있다. ⑤ 위원은 심의와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하여 비밀을 준수하여야 한다. 제 8 조(위원회의 기능) 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다. 1. 학회와 관련된 논문, 보문, 계획서, 보고서 등에 대하여 제기된 연구윤리에 관한 사항 2. 연구 및 기술개발에 있어서의 연구윤리 및 그 교육에 관한 사항 3. 학회와 관련된 연구 정직성에 관하여 제기된 선의의 고발 사항 4. 학회와 관련된 연구 부정행위에 대한 조사 5. 학회와 관련된 연구과제의 연구책임자나 관리책임자가 부의하는 연구윤리에 관한 사항 6. 기타 위원장이 부의하는 연구윤리에 관한 사항 제 9 조(연구 부정직 행위에 대한 처리) ① 학회와 관련된 연구 부정직 행위가 고발된 경우, 위원회는 그 혐의에 대한 적절한 조사와 처리를 하여야 한다. ② 연구 부정직 행위에 대한 조사는 기밀을 유지하고, 학회 또는 발주기관의 이익에 반하지 않아야 한다. ③ 연구 부정직 혐의를 받는 자는 위원회의 조사결과에 대하여 반론을 제기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며, 위원회는 이를 적절히 보장하여야 한다. ④ 연구 부정직 행위에 대한 조사의 결과는 학회에 보고되어야 하며, 그 기록은 처리가 종료된 시점을 기준으로 5년간 학회에 보관한다. ⑤ 위원회는 필요한 경우 연구 부정직 혐의를 받는 자를 출석시켜 자신을 보호하고 반론을 제기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 ⑥ 조사 결과 연구 부정직 행위가 확정될 경우, 이를 공표하고 다음 각 호의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결정은 이사회의 의결에 따른다. 1. 학회 견책 서한 발송 2. 해당 연구결과물에 대한 취소 또는 수정 요구 3. 해당 연구과제의 관련자 교체 4. 적정 기간 회원자격 상실 5. 제명 6. 법률기관에의 고발 등 ⑦ 조사 결과 연구 부정직 행위가 없었던 것으로 확정될 경우, 위원회는 피고발자 혹은 혐의자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한 적절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제 10 조(시행일) 본 규정은 이사회에서 의결된 날부터 시행한다.
사진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