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상세보기
-
NEWSLETTER
상세보기
-
-
Anton Paar레오미터
상세보기
-
Anton Paar레오미터
상세보기
-
TA instruments 레오미터
상세보기
-
New HR 레오미터
상세보기
-
유변물성 측정기술 실습동영상
상세보기
-
-
27
2023.10
2023 정기총회 및 추계 학술발표회 프로그램 안내
11월 1일(수)~3일(금), 제주 소노캄에서
개최되는 2023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최종프로그램을 안내해 드립니다.
당일 현장등록도 가능하오니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3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등록일시: 2023.11.01(수) 10:00 ~ 11.02(목) 16:00
등록장소: 소노캄 제주 East Tower 1층 로비
세션안내
1. Short Course 11.01(수) 13:00~17:00 : LAOS 실험방법 및 분석방법
1) FT-Rheology for polymeric materials
under LAOS flow(현 규 교수_부산대)2) SPP for colloid suspension under LAOS
flow(박준동 교수_숙명여대)2. 구두세션1) 발표시간 : 첨부 프로그램 확인2) 발표자는
세션 시작 전 발표자료를 미리 해당 강의실의 노트북에 준비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3. 포스터세션1) 포스터
제작 : 사이즈는 가로 90cm X 세로 120cm로 제작하며, 형식은 자유.
2) 게시일정 : 11월 1일(수) 오후 1시부터 게시 가능하며 프로그램 해당 번호에 부착정기총회 안내
2023년도 정기총회를 개최하오니 정회원/종신회원
여러분께서는 참석하여 주시기를 바라며, 불참하시는 회원께서는 학회 정관 제20조(총회의 의결정족수) 1항에 따라 회원의 10/1이상이 출석(위임 포함) 하여야 하므로 꼭 첨부한 위임장을 작성하신 후 10.30(월)까지 학회로 보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런천세미나 안내
점심 식사는 따로 제공되지 않으며, 런천
세미나 도시락(3만원 상당)으로 진행하오니 회원님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선착순 마감, 등록 시
식권 배포 예정)런천세미나 1 TA코리아 (11.02(목) 12:00~13:00, 소노캄 제주 다이아몬드홀)유변 물성 분석의 최신 동향 및 응용 사례–터리/고분자/제약 분야 재료 특성화를 위한 분석 솔루션런천세미나 2 안톤파코리아 (11.02(목) 12:00~13:00, 소노캄 제주 에메랄드홀)Anton Paar Rheo Solutions from A to Z간친회 개최 안내
학술발표회에 참여하시는 회원들을 위하여 간친회를 개최합니다.일시 및 장소 :
11.02(목) 세션 종료 후 (18:00 예정), 소노캄 제주 그랜드볼룸
우수발표상 시상 및 경품
추첨 안내
1) 우수발표상 시상 : 심사를
거쳐 대학원생 구두 및 포스터 우수발표상을 시상할 예정입니다.2) 경품이벤트 : 학술발표회 등록하시는 회원님들께 경품 추첨의 기회를 드립니다. 당첨자는
현장에 계시는 회원에 한하고, 경품권은 등록 시 배부해 드립니다.(경품 : 아이패드 3개)
문의처 : 한국유변학회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KU R&D센터 542호T: +82-2-3452-5117 F:
+82-2-3452-5119 E: ksr@ksr.or.kr
H: http://www.rheology.or.kr
-
2023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개최 안내
한국유변학회 2023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회원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관심을 부탁드리며, 총회에 참석하시지 못하는 회원께서는 첨부한 위임장을 작성하신 후 학회사무국으로 보내주시기를 바랍니다.추가 안내사항은 이메일과 홈페이지를 통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행사개최]개최날짜 및 장소: 2023년 11월 1일(수) ~ 11월 3일(금), 소노캄 제주[주요날짜]초록제출 기간: 2023.10.02.(월)까지사전등록 기간: 2023.10.10.(화)까지[주요 프로그램 안내] *프로그램은 추후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2023년 11월 1일(수) - Short Course2023년 11월 2일(목) - 개회식, 구두 세션, 포스터 세션, CCMP 특별심포지엄, 우수논문발표상 시상, 경품 추첨2023년 11월 3일(금) - 산학연 기술 토론회[발표신청 및 사전등록 안내]사전등록: 학회 홈페이지에서 등록하시기 바라며, 현장 등록도 가능합니다.초록제출: 초록양식을 다운로드하여 작성하신 후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홈페이지 로그인 > 학술행사 안내 > 사전등록 후 > 하단의 [발표신청] 배너 클릭)(https://www.rheology.or.kr/sub03/sub01.php) 등록비는 학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라며, 로그인 하신 후 사전등록 및 발표신청을 해 주시고, 2023년 회비를 미납하신 회원께서는 등록 전 회비를 납부해 주시거나 회비 포함된 등록비로 신청해 주시기를 바랍니다.학생회원 기준은 학부생, 석사 과정생까지, 박사과정생은 정회원으로 등록해 주시기 바랍니다.[ Short Course 안내]LAOS 실험방법 및 분석방법_현 규 교수(부산대), 박준동 교수(숙명여대)일시 및 장소 : 2023.11.01(수) 13:00~ 17:00, 소노캄 제주자세한 내용은 첨부 안내문을 참조하시기를 바라며, 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합니다.[숙박 예약 안내]소노캄 제주(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일주동로 6437-17)회원들을 위하여 행사장인 소노캄 제주의 예약링크를 학회 홈페이지에 오픈하였으니 예약사이트로 들어가서 객실타입과 금액(행사할인가)을 확인하시고 예약하시기 바라며, 기타 문의는 학회사무국이나 예약관련 매니저에게 하시기를 바랍니다.예약 기간: 2023.09.04(월) ~ 2023.10.23(월), 예약사이트: https://rheology2023.mice.link/ [문의처] 한국유변학회 T: 02-3452-5117 F: 02-3452-5119 E: ksr@ksr.or.kr
2023.09.22
-
2023 Australia-Korea Rheology Conference 개최 및 초록 제출 안내
안녕하세요. 회원 여러분제12회 한-호 유변학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초록 제출 및 사전 등록에 대해 안내하오니 많은 참여와 관심을 부탁합니다.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과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어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12th Australia-Korea Rheology Conference4th – 7th December 2023, The University of Melbourne, Victoria, AustraliaAn opportunity for rheolog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from Australia, Korea and elsewhere to meet and share their ideas and findings. We invite submissions for ‘regular presentations’ and ‘posters’:- Regular presentations will be 15 minutes each, followed by 5 minutes for questions.- The poster session will be on Tuesday 5th December.Please join us to celebrate the ASR's 40th anniversary, presentation of the ASR Medallion, and Roger Tanner's 90th birthday at the conference dinner on Wednesday 6th December.There will also be a short course on the basics of rheology (3hr lectures + 3hr hands-on training) on Monday 4th December, and a site seeing tour on Friday 8th December to Sovereign Hill, Ballarat.[Important Dates] Abstract submission deadline: 27th AugustNotification of abstract acceptance: 15th SeptemberRegistrations open: 1th AugustEarly-bird registrations close: 30th SeptemberRegistrations close: 31th OctoberAn abstract template, registration and accommodation details are available at this link. Please send your abstract or enquiries to asrkarc2023@gmail.com.
2023.08.22
-
2023년도 학회상 후보자 추천 의뢰 안내 (~8/31)
안녕하세요. 회원 여러분본 학회에서는 2006년도부터 학회상을 제정하여, 탁월한 연구업적을 이루고 유변학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회원을 발굴하여 학회상을 수여하고 있습니다. 이에 아래와 같이 수상후보자 추천을 의뢰 하오니, 첨부한 내용을 참조하신 후 적합한 수상후보자를 추천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가. 포상부문 : 신진 학술상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우수한 유변학 관련 논문을 발표한 자로서, 본 학회 학술지 KARJ에 1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고, 추천일 현재 만 45세 이하인 회원 1인 (상금 200만원) 나. 추천기한 : 2023년 8월 7일(월) ~ 8월 31일(목)다. 시상일자 : 2023년 11월 2일(목) 추계 총회에서 시상 라. 선정절차 : 후보자들을 추천받아 학회상 선정위원회에서 심사, 선정 후 이사회에서 확정함마. 제출서류 : 학회상 수상후보자 추천서 (별첨)바. 제 출 처 : 한국유변학회 사무국 이메일 (ksr@ksr.or.kr)첨부파일 1. 학회상 규정 및 선정 세칙 1부, 2. 역대수상자 1부, 3. 학회상 추천서 양식 1부, 끝.
2023.08.22
-
[채용] 롯데케미칼 종합기술원 연구원 경력채용
롯데케미칼 종합기술원 연구원 경력채용(물성해석/CFD해석 연구원 경력 수시 채용)응시자격•해외여행 및 건강상 결격 사유가 없는 분•관련 분야 석사 이상 학위를 보유하고 경력 요건을 충족한 분 •남성의 경우, 병역필 혹은 병역을 면제 받은 분모집부문
모집직무
모집인원
주요업무
자격요건
근무지
물성해석
0명
1. 반응기/공정 유동해석 및 설계2. 폴리머 압출 및 유변공정 해석 기술 개발3. AI 활용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필수 자격 요건]1. 화학공학/기계공학 유관 전공 석사 학위 이상2. CFD 해석 연구 경력 3년이상 (’24.2월 박사 졸업 예정) - 유동해석 프로그램 활용 기술 보유(ANSYS 등) - CAE/CFD 기술 활용 설계 및 신규 해석 기술 개발 [우대 사항]1. 반응공정/유변학/유변공정/전산모사해석 관련 전공2. 구조 해석/설계 프로그램 활용기술(LS-DYNA, ABAQUS 등)3. 폴리머 압출 및 유변공정 해석 기술 개발 경험4. 공정 및 반응기 설계 해석 관련 프로젝트 경험
대전(종합기술원)
채용조건•고용형태 : 정규직(수습 3개월)•직급 및 처우 : 회사 내규에 따름(면접 후 별도 협의)지원서 접수(수시) 및 문의•롯데케미칼 종합기술원 물성해석팀 (youngtiger@lotte.net)•롯데케미칼 종합기술원 R&D인사팀 (rnd@lottechem.com)전형절차지원서 접수 > 서류전형 > 인성검사 및 면접전형(1차: PT면접 / 2차: 임원면접) > 평판조회/처우협의 > 채용검진 > 최종합격
2023.11.23
-
2023 KPS Fall Meeting 세션 안내
아래와 같이 한국물리학회에서 진행되는 세션을 안내합니다.2023 KPS Fall Meeting October 24-27, 2023 Changwon Exhibition Convention CenterE [Condensed Matter Physics, Applied Physics & Biological Physics] 마이크로플루이딕스와 유변학 : 원리와 응용 (Microfluidics & Rheology : Principle and Application) - 제원호(서울대), 이만희(충북대)TIME: October 27 (Friday) 10:30 - 12:06 / ROOM: Convention Hall III초청연사: WEITZ David (Harvard University), MCKINLEY Gareth (M.I.T.)‘연성물질(Soft Matter)’는 자연과 일상에 편만한 액체, 이멀젼, 콜로이드, 생체물질과 같은 기존의 '단단한’ 고체물질과 대비되는 물질을 통칭함. 일상에서 흔히 경험하고 자연과학과 산업에서도 많이 연구 응용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성물질은 오랜 기간 공학의 연구 대상으로 여겨져왔고 많은 응용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연성물질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 특히 물리학 연구자들을 위한 연구분야 소개는 상대로 부족한 점이 있었다고 여겨지고 있다. 연성물질의 두가지 플랫폼(마이크로플루이딕스와 유변학)의 세계적인 석학 두 분의 큐토리얼을 강연을 통해 물리학의 지경을 넓히고 새로운 연구 및 응용 가능성을 제공하는 자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oft Matter’ refers to materials that are present in contrast to ‘hard’ solid materials, such as liquids, emulsions, colloids, and biomaterials that are common in nature and daily life. Despite being commonly experienced in everyday life and widely applied in natural science and industry, these soft materials have been considered as subjects mostly of engineering research for a long time and have shown. In particular, introduction of such areas to physics community has been rather slow. Through two tutorials by two world-renowned scholars of the two platforms on soft matter (microfluidics and rheology), it can be a chance to expand the boundaries of physics and provide new research and application possibilities.
2023.10.12
-
[채용] 단국대학교 기계공학과 신규 전임교원(2023-2학기)
아래와 같이 단국대학교 기계공학과에서 신규 전임교원을 채용하고자 하오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단국대학교 기계공학과 신규 전임교원 채용(2023-2학기) - 채용분야: 기계공학 전분야 (자격조건: 기계공학계열 박사학위자)- 제한사항: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관련학과 학사학위소지자 채용 제한- 지원사이트: https://apply.dankook.ac.kr/tiad/empm/main.do- 지원기간: 2023.4.24. 12:00 ~ 2023.5.8. 12:00. 웹 지원 및 이메일 지원 필요- 필수요건: 연구업적* 600점 이상 또는 SCIE(IF 30% 이내) 주저자 2편 (2020.3.1.~2023.2.28. 기간 내) * SCOPUS는 Article과 Review만 인정, 박사학위논문은 학위취득시기별 점수 차등 자세한 점수 산식은 지원사이트 내 공고문 참고- 첨부파일: 공고문
2023.05.02
19
2023.06
연규윤리규정
연구윤리규정 제정 : 2008년 3월 6일 제 1 조(목적) 본 규정은 한국유변학회(이하‘학회’라 한다)와 관련된 연구가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하거나 사회 공동의 윤리를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연구에 있어서의 엄밀함과 윤리성을 제고할 수 있는 과정의 규율체계를 규정함으로써 연구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 2 조(연구자의 정직성) ① 연구자는 각자가 수행하는 연구에 있어서 정직하여야 한다. 여기서 정직은 아이디어의 도출, 실험에 대한 설계, 실험과 결과의 분석, 연구비 지원, 연구결과의 출판, 연구 참여자들에 대한 공정한 보상 등 연구과정의 전반에 관한 정직을 말한다. ② 연구자는 연구에 있어서의 표절, 사기, 조작, 위조 및 변조 등을 심각한 범죄행위로 간주하고, 이러한 부정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여야 한다. ③ 연구자는 본 조 제2항의 부정행위가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경우 적절한 방법으로 이를 학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④ 연구자는 자신의 이익과 타인 또는 타 기관의 이익이 상충하거나, 상충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 이를 공표 하고 적절히 대응하여야 한다. 제 3 조(연구의 개방성) ①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기밀이 보호되는 범위 내에서, 학문과 기술의 발전을 위하여 최대한 공개적인 자세로 임하여야 한다. ② 연구결과가 출판된 후 다른 연구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지적재산권 또는 연구와 관련된 제한이 규정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연구 관련 데이터와 결과물 등을 적극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제 4 조(기여도 배분) ① 논문 등 출판된 연구결과에 기재된 저자들은 그 연구내용을 숙지함으로써 책임을 다할 수 있어야 하며, 기여도가 없는 사람에 대하여 저자의 권한을 부여해서는 아니된다. ② 공식적인 공동연구자 또는 출판물의 작성에 직간접으로 기여한 사람들은 논문 등에 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적절히 보상되어야 한다. 제 5 조(타 기관의 가이드라인) ①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와 관련된 법적 제한을 숙지하여야 한다. ② 학회는 연구자에게 본 규정과 더불어 연구의 발주기관 혹은 관련 단체나 기관이 제시하는 연구 수행의 가이드라인을 따를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제 6 조(연구윤리위원회) ① 연구윤리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학회 내에 연구윤리위원회(이하‘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② 위원회는 수석부회장, 부회장, 총무이사, 기획이사, 편집이사의 5인으로 구성한다. ③ 위원장은 수석부회장이 수행한다. 제 7 조(위원회의 운영) ① 위원회는 회장의 요청이 있을 경우 또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 위원장이 소집한다. ② 위원회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성립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단, 위임장은 위원회의 성립에 있어 출석으로 인정하되 의결권은 부여하지 않는다. ③ 위원회의 심의 대상인 연구에 관여하고 있는 위원은 그 연구와 관련된 심의에 참여할 수 없다. ④ 위원장은 심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연구책임자 혹은 관리책임자에게 자료의 제출 또는 보고를 요구할 수 있다. ⑤ 위원은 심의와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하여 비밀을 준수하여야 한다. 제 8 조(위원회의 기능) 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다. 1. 학회와 관련된 논문, 보문, 계획서, 보고서 등에 대하여 제기된 연구윤리에 관한 사항 2. 연구 및 기술개발에 있어서의 연구윤리 및 그 교육에 관한 사항 3. 학회와 관련된 연구 정직성에 관하여 제기된 선의의 고발 사항 4. 학회와 관련된 연구 부정행위에 대한 조사 5. 학회와 관련된 연구과제의 연구책임자나 관리책임자가 부의하는 연구윤리에 관한 사항 6. 기타 위원장이 부의하는 연구윤리에 관한 사항 제 9 조(연구 부정직 행위에 대한 처리) ① 학회와 관련된 연구 부정직 행위가 고발된 경우, 위원회는 그 혐의에 대한 적절한 조사와 처리를 하여야 한다. ② 연구 부정직 행위에 대한 조사는 기밀을 유지하고, 학회 또는 발주기관의 이익에 반하지 않아야 한다. ③ 연구 부정직 혐의를 받는 자는 위원회의 조사결과에 대하여 반론을 제기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며, 위원회는 이를 적절히 보장하여야 한다. ④ 연구 부정직 행위에 대한 조사의 결과는 학회에 보고되어야 하며, 그 기록은 처리가 종료된 시점을 기준으로 5년간 학회에 보관한다. ⑤ 위원회는 필요한 경우 연구 부정직 혐의를 받는 자를 출석시켜 자신을 보호하고 반론을 제기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 ⑥ 조사 결과 연구 부정직 행위가 확정될 경우, 이를 공표하고 다음 각 호의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결정은 이사회의 의결에 따른다. 1. 학회 견책 서한 발송 2. 해당 연구결과물에 대한 취소 또는 수정 요구 3. 해당 연구과제의 관련자 교체 4. 적정 기간 회원자격 상실 5. 제명 6. 법률기관에의 고발 등 ⑦ 조사 결과 연구 부정직 행위가 없었던 것으로 확정될 경우, 위원회는 피고발자 혹은 혐의자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한 적절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제 10 조(시행일) 본 규정은 이사회에서 의결된 날부터 시행한다.
사진갤러리